1. 마음을 비우고 본다면

"너브"는 컴퓨터 화면으로 시작하는 오프닝에서부터 흥미롭게 시작합니다. 주인공이 노트북 화면을 통해 각종 소식을 접하는 화면부터 같이 흘러나오는 음악까지 저도 모르게 흥얼거리면서 보기 시작했습니다. 글의 첫머리에 올린 포스터처럼 "너브"는 최신 감성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영화입니다. 
학교에서 조용히 지내는 주인공 "비"가 우연히 너브라는 아프리카 방송 비슷한 것을 시작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다룬 영화입니다. 
제가 팝콘무비라고 표현했던 것처럼 주연배우들의 연기력이나 스토리의 세밀함 등을 따지고 들어가면 흠이 많이 보이는 영화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마음을 비우고 가볍게 본다면 한번 쯤은 재밌게 볼 수 있는 영화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영화제목이기도 한 "너브"는 뻔뻔함, 배짱 등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영화 문구인 '가장 미친놈이 모든 걸 갖는다' 라고 말하는 것처럼 영화 속 주요인물들은 "너브"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자들인 "왓쳐(watcher)"가 제시하는 도전들을 수락하고 대담하게 생방송으로 보여주면서 돈을 벌어들입니다.
여기에 주인공 "비"도 참가하게 되면서 어딘가 수상하지만 멋있는 남주인공 "이안"과 같이 여러 도전들을 수행해 나가면서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젊은 남녀 주인공이 여러 사건들을 거치면서 사랑에 빠진다는 진부한 스토리이지만, 영화에서는 다양한 색감을 통해 그려낸 인터넷의 화면들과,  빠른 리듬의 스토리 전개로 지루하지 않게 그려냈습니다.

2. 조금은 부족한 메시지

영화 내에서 그려지는 "너브"라는 방송은 흡사 한국의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를 떠올리게 합니다. '아프리카'에서도 소위 별풍선이라는 돈을 벌기 위해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비제이들도 많이 보이는 것처럼, "너브"에서 나오는 '플레이어'들도 크게 다르지 않게 묘사됩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영화는 두 주인공의 로맨스에 더 무게를 두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을 원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내에서 사망하는 인물들은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왓쳐'들이 지시하는 도전들을 수행하는 '플레이어'들의 행동은 위험하고 불안하지만,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대담하고 배짱이 있어보이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조금 더 쉽게 비교해서 말씀드리자면, 한국영화 "소셜포비아"에서 그려낸 개인방송의 어두운 면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신세대 감성으로 그려낸 로맨스 영화라고 하더라도, 위험하고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있는 법입니다. 

저는 영화에서 제일 아쉬웠던 것이 바로 "너브"라는 방송을 운영하는 방식을 위험한 해커집단처럼 그려내고 결말까지도 마무리를 짓지 못한 부분이었습니다. 맨 처음 주인공인 "비"가 '너브'의 플레이어로서 가입할 때 간단하게 규칙을 설명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미지들이 복잡하게 그려지면서 짧게 지나가는 장면이지만, 밀고자는 보복당한다는 규칙이 있는 것처럼 함부로 가입했다가는 위험한 일에 휘말릴 수 있다는 사실 정도는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인공인 "비"는 친구에게 너는 누구 앞에 나서서 행동할 배짱이 없다는 말을 듣고 욱하는 마음에 가입을 해버립니다. 본인의 지문과 얼굴 사진을 제공하면서 까지 말이죠. 

두 주인공들이 살아남고 해피엔딩을 맞이했다면, 어차피 팝콘무비인데 상관없는것 아니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저도 이해합니다. 하지만 후에 리뷰를 작성하면서 영화에 대해 조금은 아쉬웠던 부분도 언급하고 싶었습니다.

3. 그래도 지루하진 않다.

앞서 영화에 대해 느낀 장단점을 말씀드렸지만, 확실한건 이 영화는 재미있습니다. 90여분이라는 길지 않은 상영시간에 빠르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몰입도가 높습니다. 새로운 느낌의 로맨스 영화를 찾고 계신 분들에게도 권해드릴 수 있는 작품입니다.


+ Recent posts